전체 글 22

2025년 1분기 만다라트 회고

2024년 한 해 동안 만다라트 모임을 진행했었고, 한 달의 생활을 돌아보는 시간이 의미 있다는 생각이 들어 올해도 같은 멤버들과 만다라트 모임을 이어오고 있다.1년 동안 만다라트를 해오면서 터득한 나만의 팁이 있는데, 바로 한 해 동안 해야 할 일을 너무 구체적으로 잡지 않는 것이다. 구체화하는 데 시간도 많이 들고, 시간이 지나면서 시행착오를 거치며 내 생활 방식에 맞게 목표도 변경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큰 틀의 목표만 잡고, 나머지 세부적인 계획은 해당 달에 구체적으로 작성하고 회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는데, 이 방식이 나에게 더 잘 맞는다고 느낀다 :) 만다라트의 의미는 내가 가야 할 목표 지점을 향해 이정표를 주는 것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너무 빡빡하게 잡아서 실천하려고 하는 것보다 어느 정..

Cursor MCP 공식문서 읽어보기

요즘 MCP에 대한 주목이 높아졌다는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개발자와 스몰토크 나누면 꼭 나오는 주제이기도 하고요.이미 현업에서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한 사례도 들려오고 있습니다.하지만 저는 아직 MCP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지 감이 안잡히지 않더라고요. 따라서 공식 문서와 튜토리얼을 보면서 천천히 적용해보려 합니다.Cursor AI를 IDE로 사용중인데 Cursor에서 MCP를 지원한다고 하네요. Claude Desktop을 사용한다면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어 보이는데, 저는 Cursor에서 적용해 보고 싶습니다.일단 Cursor에서 MC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0.45.x이상의 버전이 필요하니 업데이트를 꼭 해주세요. https://www.cursor.com/changelog저는 0.47.x ..

[번역] Model Context Protocol (MCP)

LLM과 더불어 관심도가 높은 MCP에 대해 잘 설명한 글을 발견해서 옮겨봅니다.MCP는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USB-C 포트 같은 것입니다.USB-C가 다양한 주변기기에 장치를 연결하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듯, MCP는 AI 앱이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도구에 연결하는 방법을 표준화합니다.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핵심 구조MCP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이 여러 서버에 연결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따릅니다.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호스트클라이언트서버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개요를 살펴보겠습니다 👇호스트와 클라이언트:호스트: AI 앱(Claude 데스크톱, Cursor)으로 AI 상호작용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고, 도구와 데이터에 접근하며, MCP 클라이언트를 실행합니다.MCP 클라..

[번역+추가내용] Vite v5에서 v6로 마이그레이션 하기

Environment API새로운 실험적 Environment API의 일환으로 큰 내부 리팩토링이 필요했습니다. Vite 6는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새로운 메이저 버전으로 빠르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호환성을 깨지 않으려 노력했습니다. 생태계의 대부분이 새 API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할 때까지 기다릴 예정입니다. 일부 엣지 케이스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주로 프레임워크와 도구의 저수준 사용에만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릴리스 전에 생태계의 메인테이너들과 협력하여 이러한 차이점들을 완화했습니다. 문제점을 발견하시면 이슈를 열어주세요. Vite의 구현 변경으로 인해 일부 내부 API가 제거되었습니다. 이러한 API를 사용하고 계셨다면 기능 요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Vite Runtime API실험적인..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관리 스터디 후기

참여 기간 : 2024년 9월 7일~12월7일 (3개월)스터디 주제 :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 책을 매주 스터디스터디를 신청한 이유 : 책을 통해 리액트 훅과 상태 관리에 대해 공부하고 각자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고민을 나누기 위해 스터디를 진행했다. 스터디를 참여 시작할 때 세웠던 목표1. 책 완독2. 코드 레벨에서 이해하기진행 과정한 주에 1~2장을 읽고 내용을 정리한다.스터디날 발표자를 랜덤으로 선정하여 해당 회차 스터디를 진행한다. 지난 12월, 3개월간 진행된 자바카페 2024년 하반기 스터디가 마무리되었습니다. 마지막 발표회에서 제가 리더를 맡았던 '리액트 훅을 활용한 마이크로 상태 관리 (다이시 카토)' 스터디의 회고를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회고 발표스터디 ..

AWS Industry Week 참관 후기

1. 행사 개요행사 일시 및 장소2024년 11월 7일 코엑스에서 AWS Industry Week 2024에 개최되었습니다.주요 주제이번 AWS Industry Week 2024의 주요 테마는 '산업별 혁신과 클라우드 전환'이었습니다. 키노트는 총 6개의 주요 산업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각 트랙을 살펴보면:  - 리테일 및 소비재- 통신 및 미디어- 금융 및 핀테크- 제조 및 하이테크- 헬스케어 및 생명 과학- 디지털 인더스트리  이렇게 다양한 산업군을 아우르는 세션들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  2025년을 앞두고 각 기업들이 어떤 클라우드 전략을 준비하고 있는지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저는 특히 '리테일 및 소비재' 트랙을 통해 고객 경험 혁신과 AI 활용 사례를 우리 회사에 접목할 수 ..

[React, Typescript] 구글 로그인

Google Identity Services로의 마이그레이션  2023년 3월 이후, Google Sign-in platform library는 deprecated 되었으며, Google Identity Services library로 대체되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react-google-login 라이브러리를 삭제하고 새로운 라이브러리로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Google Identity Services를 활용한 Google 로그인 구현 방법을 설명합니다. 1. 사전 준비GCP에서 Client ID 발급Google Cloud Platform에서 Client ID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 과정은 생략하였으며, 관련 자료는 구글링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2. Google Lo..

HikariCP와 DB Connection Pool의 이해

Spring Boot를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는 HikariCP는 커넥션 풀(Connection Pool)로, 그 원리를 깊게 이해하지 못한 채 사용하곤 했습니다. 최근 웹서핑 중 HikariCP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드락 문제에 대한 글을 읽고, 이를 정리해보았습니다.1. DB Connection Pool이란?DB Connection Pool은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DB(Database) 사이의 연결을 미리 생성하여 Pool에 보관하고, 이를 재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연결을 매번 새로 생성하는 대신, 미리 생성된 연결을 재사용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2. Connection Pool의 필요성WAS와 DB의 연결은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입..

원티드 X 네이버클라우드 프롬프트톤 참여 후기 (잇츠 스터디 크루(IT's Study Crew) 스터디)

더보기목차들어가며이전 게시글 링크스터디 결과목표 달성 여부주요 성과배운 점원티드 X 네이버클라우드 프롬프트 톤 참여참여 계기프로젝트 설명결선작 당선 경험결론스터디의 전체적인 소감앞으로의 계획들어가며잇츠 스터디 크루(IT's Study Crew) 1기의 '실전!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나만의 IT 팀 구축하고 서비스 만들기' 라는 스터디를 시작하며 GPT와 LLM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 결과와 이어진 대회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참여 계기와 관련된 내용은 이전 중간 회고 글로 대신하겠습니다.스터디 결과목표 달성 여부GPT와 가까워지기GPT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유료 버전을 결제해 GPTs 등을 활용, playground 환경을 통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claude, gemini, ..

대규모 시스템 설계 스터디 후기

참여 기간 : 4월 20일~6월21일 (2개월)스터디 주제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책을 매주 스터디스터디를 신청한 이유 :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어떻게 인프라를 구축할지, 고려해야할 사항은 뭔지 궁금하였는데 이 책이 좋다는 소문을 들어서 스터디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스터디를 참여 시작할 때 세웠던 목표1. 책 완독2. 손으로 짜보기진행 과정한 주에 1~2장을 읽고 내용을 정리한다.정해진 발표자가 해당 날에 스터디를 진행한다. 들어가며지난 2개월 동안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책으로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 스터디 경험을 공유하고자 합니다.대규모 시스템의 인프라 구축 방법과 고려사항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고, 이 책이 좋다는 평판을 ..